728x90

나를 계발하기 위한 노력으로 시작했다.
자격증은 몇 개 있지만 공부와는 벽을 쌓고 사는 인종이라 힘들게 취득했습니다.
우선 집중력이 떨어지는 지구력 저질입니다. 책상에 앉아 10분만 지난면 딴생각 하는 몽상가 입니다.

먼저 소개를 하자면 건축공학을 전공하고 복수전공은 경영학, 자격증은 건축기사와 건설안전기사, 컴활을 갖고 있다.

남들은 쉽게 따던데 공부와는 거리가 먼 내가 도전을 했다.
시작이 반이랬던가 ~벌써 1달이 다되어간다.

그 동안 감사로 공부에 소흘했다.  이번주만 쉬어야지 하는게 3년이 지나버렸다.
줄을 놓아 버린면 다시 올라가기란 더 힘들어지는게 지금의 나의 생각입니다.

내 공부를 정리하면서 나중에 다른 사람도 도움이 될까 해서 습작을 했다.
습작이란 거창한 단어를 사용했지만, 현재 30대 중반 공부를 시작하니 머리가 깨진다. 진짜 장난 아니다.

하지만 강의실에서 난 어린측에 속한다. 이를 위로하면서 수업에 꼬박 참석을 한다.
시작했으니 끝을 봐야지~

그럼 이 자격증은 취득한 대가가 어떨까라는 고민부터 시작을 했다. 그냥 따면 좋케치 라는 막연한 환상은 금물이다.
자기의 시간과 투자한 비용의 기회비용은 적지 않다. 하지만 아무것도 하지 않는거보다는 낳다.

어제 한미 FTA를 재협상한다는 뉴스를 접했다.
지인 중에 한미 FTA 약간의 지식이 있는 분한테 최근 정황을 들어 파악했을때, 한국 기술사를 상호인정해주는 문제는 어렵다라고 듣었다.

그럼 요즘 하고있는 기술사 CPD라는 교육은 뭔데? 그리고 국내기술사 자격시험도 미국형식으로 바뀐다고 하던데 2년동안 달달외어서 자동으로
기술지식을 종이에 적는방식이 바뀌는거야 라는 의문점이 생기지만 항상 제도는 현실에 뒤쳐지는 거라고 필자는 생각한다.

정부에서 협상을 해도 주정부에서 인정을 하지 않으면 소용이 없다. 국내기술사는 포화상태이다. 그리고 건설업은 하향산업이다.
해외 현장에서 미국 엔지니어링 PE가 한국기술사를 기술자로 인정해주지 않는 부분도 이미 해외현장에서 경험한 분들의 얘기로 알 수 있다.

내 업무가 기술사와 관련이 있다. 그래서 몇 가지 활용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려고 하니 도움이 될 만한 분들은 참고를 해주시기 바랍니다.




 

 

미국기술사 FE, PE

 

 

 

 

 

 

 

FUNDAMENTAL ENGINEER, PROFESSIONAL ENGINEER

 

1. 개요

 

미국의 PE제도는 1907년 미국 와이오밍주에서 시작된 제도로 국내의 기술사와 동일한 개념이다.  미국에서는 각 주의 주법에 의해 시행이 되고 있다.

현재는 미국의 PE 시행기관과 형태는 전미(全美)시험협의회( http://www.ncees.org )

(NCEES - National Council of Examiners for Engineering and Land Surveying)에서  미국 전체 주에 대하여 시험을 시행하고 있다. (TEL : 864-654-6824)

미국의 PE시험은 공통이지만 시험 결과에 대한 심사, 등록은 각 주가 별도로 처리한다.

 

 

2. 최근동향

 

최근 미국과의 FTA 협상이후 건축사, 기술사는 물론이고 의료시장, 법률시장도 점차적으로 미국에 시장을 개방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미국 기술사 (PROFESSIONAL ENGINEER)의 중요성이 점차 높아지고 있습니다.

▣ 취득 시 이점

미국에서 기술사 (PE)는 변호사, 의사등과 같은 전문자격사로 인정을 받고 있습니다. 엔지니어링 영역, 감리영역에서 기술사 면허없이 사업이 불가능하다고 알려지고 있습니다.

간단하게 말씀드리면, 미국 캐나다등 이민시에 우대를 받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미국 해당주에서 PE로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그밖에도 많은 매리트가 있다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 한국내 미국기술사 취득자

우리나라 주둔 미극동사령부 관할의 오리건주정부 등록된 기술사를 예를 들면 대략 300명 가량의 한국인이 현재까지 알려진 취득자이며 국내 거주하는 미국 기술사의 대부분을 차지

합니다. 다른주에서는 취득요건이 너무 까다로와서 응시기회가 거의 주어지지 않는 것도 하나의 이유가 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캘리포니아 주정부 등 그 밖의 주에서 취득한 분들이 일부 있어 대략 400여명 수준

이 국내 거주하는 미국 기술사 취득자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 FE와 PE란?

미국의 PE 시험은 1차 시험과 2차 시험이 있으며 1차 시험은 FE(Fundamental of Enginee

ring)시험 또는 EIT(Engineer In Training)시험이라고 하며 2차 시험은 PE(Principle and Practice of Engineering)시험 또는 PE(Professional Engineering)시험이라고 한다.

FE 시험에 합격한 사람을 EIT 라고 합니다. EIT 는 ENGINEER IN TRAINING 의 약어로서 엔지니어 인턴을 말합니다.

다시말해 FEPE가 되기 위해 반드시 치루어야 하는 관문입니다. 캐나다 등 외국에 이민할 때 이민 심사할 때부터 FE 자격은 큰 힘이 될 것입니다.

FE 시험을 한번 합격한 것으로 추후 PE 시험을 치룰 수 있는 관문에 이미 들어선 것입니다.

FE 자격 자체가 합격자 본인의 공학 기초가 탄탄하게 형성되었다는 것을 확인시켜 주는 것

이라고 생각됩니다.

 

3. 세부사항

▣ 자격별 응시자격 및 시험방법

1차 FE(Fundamental of Engineering)

 

구분

내 용

응시자격

① 4년제 공학계 대학 졸업 혹은 졸업예정자에 한해서 응시할 수 있다.

② 2월 졸업 예정자의 경우 전년도 가을(10월) FE시험에 응시 가능

시험응시

절차와 방법

① 웹싸이트 (http://www.osbeels.org)를 통해 바로 신청이 가능함

② 시험 응시 형태

시험응시형태는 Education, Experience, Education/Experience로 구분된다

③ 시험접수방법

2009년도 한국기술사회와 미국기술사위원회가 협정서를 체결하여 한국 기술사회에서 원서대행을 하고 학력 인증이나 PE추천없이 시험이 응시가능

기존 오리건주에 응시할 경우는 학력인증과 PE추천인이 필요함

FE시험 출제 형태

FE시험은 객관식으로 출제되며, 공통과목과 선택과목으로 구분한다.

오전

시험

시험과목은 12과목 -수학, 역학(동역학과 정역학), 열역학, 재료 과학, 재료 역학, 화학, 전기학(전기학, 자기학), 컴퓨터공학, 경제성공학, 윤리, 유체역학, 확률통계학 이다.

이는 공과대학에서 다루는 1학년 기초과목은 물론 2학년 3학년 4학년의 전공과목에 해당하는 것이 총망라되어 있습니다

오후

시험

선택 과목시험으로 7개 부문으로 구분하며 General,  화학공학, 토목공학, 전기공학, 산업공학, 기계공학, 환경 공학) 이며 60문제가 출제됩니다.

FE시험 문제수 및 배점

구분

morning session(오전)

afternoon session(오후)

출제문제수

120문

60문

배점

문제당 1점

문제당 2점

총점

120점

120점

240점

합격점수는 오전, 오후시험을 모두 합하여  조정 점수(converted score)로 환산한 후 60~70점(100점 기준) 이상이면 합격으로 한다.

 

2차 PE(PROFESSIONAL ENGINEER)

 

구분

내 용

응시자격

① 공학기사(FE)자격 소지자로서 응시하려는 분야의 4년 이상의 엔지니어 경력

소지자

② 공학기사 자격이 없이 순수 경력으로도 응시가 가능 하도록 되어있으나 경력

인정이 상당 히 어려워 거의 불가능함.

따라서 반드시 공학기사자격을 취득 후만 기술사 시험 에 응시할 수 있음.

PE응시를 위한 실무경력

인정방법

① FE자격 소지자로써 실무경력 4년 이상이 필요

-FE자격취득 전 경력도 포함가능

② PE시험 시 추천인5명(3명은 PE포함)에 의해 실무 경력업무에 대하여 평가를 받아 지원서와 함께 제출

PE시험 출제 형태

PE 시험은 객관식으로 출제되며, 공통과목과 선택과목으로 구분한다.

오전

시험

응시종별로 상이

오후

시험

PE시험 문제수 및 배점

구분

morning session(오전)

afternoon session(오후)

출제문제수

40문

40문

배점

 

 

총점

 

 

 

합격점수는 오전, 오후시험을 모두 합하여  조정 점수(converted score)로 환산한 후 60~70점(100점 기준) 이상이면 합격으로 한다.




4. 참고사항

▪ KPEA Services (www.kpea.or.kr)

1. 한국 내 응시자의 시험신청 접수 (서류 및 응시료 접수)

2. 한국 내 응사자의 자격 심사 (학, 경력 검토)

3. 한국 내 시험 장소 선정 및 시험 시행

4. 최종 시험 합격자 통보

5. 최종 시험 합격자 관리

▪ NCEES Services (www.els-examreg.org)

1. 자격 심사를 통과한 응시생들의 FE·PE 시험 관리, 감독

2. 응시생들의 최종 응시 승인 및 관련된 자료 제공

3. 각 시험 집행, 관리를 위해 각 시험장에 책임감독관 파견

4. 시험의 채점 및 채점결과 정보 제공

5. 최종 시험 합격자를 KPEA로 통보

 

▣ NCEES 10-Year Exam Schedule

Year

Spring

Dates

Fall

Dates

2010

April

4월

17, 18

October

10월

30, 31

2011

9, 10

29, 30

2012

14, 15

27, 28

2013

13, 14

26, 27

2014

12, 13

25, 26

2015

18, 19

31, 11/1

2016

16, 17

29, 30

2017

22, 23

28, 29

2018

14, 15

27, 28

2019

6, 7

26, 27

 

 

+ Recent posts